마케팅 전략/마케팅칼럼
뉴로마케팅 - 뇌속의 고객 구매버튼을 자극하라 -
Marketcast
2013. 2. 26. 09:00
1989년 창간한 여성 월간지 “마리안느”는 창간되고 17호 만에 폐간되는 비운의 잡지가 되었다. “마리안느” 는 창간 전에 철저한 시장조사를 실시했는데, 그 결과 주부들이 낯 뜨거운 섹스 이야기나 루머 일색의 기존 잡지들에 식상해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유익한 정보만을 담은 잡지가 나온다면 무려 응답자의 95% 이상이 구독하겠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에 고무된 이 잡지는 고객의 니즈에 맞게 무섹스, 무루머, 무스캔들을 표방하는 명품여성월간지를 출간하였다. 하지만 창간한 지 2년도 채 되지 않아 독자들의 외면 속에 부도를 내고 말았다.이런 결과를 초래한 건 고객의 숨겨진 진짜 마음을 읽지 못했기 때문이다. 설문 조사 당시의 환경 및 자신의 체면 때문에 응답자들은 이성적으로 대답했지만 정작 마음속의 속내를 드러내지 않았던 것이다.
설문조사와 달리 구매결정시점에는 이성적 판단 보다는 연예인의 루머 나 선정적이면서 자극적인 내용에 이끌리는 감성적인 본능에 따라 기존에 익숙한 잡지를 선택한 것이다.
백화점에서의 구매 또한 마찬가지이다. 합리적인 구매를 위해서 꼼꼼하게 구매계획서를 작성하 여 백화점에 들어서지만 매장을 둘러보면서 쇼윈도에 걸려있는 화려한 옷을 보게 되면 발길을 멈추고 해당매장에 들어가 점원에게 가격을 물어보게 된다. 그리고 결국 구매계획과 상관없는 제품을 충동적으로 구매하게 된다.
고객들은 자신이 물건을 구매할 때 합리적이고 이성적으로 구매한다고 생각하지만 이처럼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이성이 아닌 감정의 충동에 의해 구매를 결정하게 된다. 조사결과 모든 결정의 70~80%는 자신도 모르는 무의식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고객이 내리는 모든 중요한 결정은 감정이 우선한다.
뉴로마케팅은 설문조사로 파악할 수 없는 고객들의 다양한 의사결정과 선택과정에 뇌가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분석하여 고객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뇌의 반응을 분석 함으로서 고객이 말로 표현하지 못한 다양한 고객심리 상태를 파악하여 고객의 본심을 들여다 볼 수 있다. 더불어 심리상태 이외에도 오감이 의사결정을 할 때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감성적인 판단의 역할도 규명할 수 있다.
뇌의 작용 및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 방법으로 가장 많이 활용하는 방법은 fMRI(자기공명단층 촬영장치)를 활용하는 것이다.
뇌나 신경계의 특정 부분이 활성화 될 때 신경이 산소를 소모함에 따라 변하는 뇌혈류를 측정해 뇌신경의 활성화를 간접적으로 추정하여 보여주는 것이 바로 fMRI이다. 예를 들면 우리가 냄새를 맡는 데 집중하고 있으면 후각을 담당하는 뇌의 부분이 fMRI 사진에서 밝게 나타난다. 반면 우리가 무언가를 골똘하게 기억하거나, 기억을 끄집어내려 한다면 기억과 사고를 담당하는 전두엽, 즉 뇌의 앞부분이 밝게 나타난다. 이처럼 fMRI는 활성화된 부분을 밝게 보여줌으로써 우리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무엇을 느끼는지를 보여준다.
이처럼 fMRI로 촬영된 결과를 기반으로 고객의 행동 및 의사결정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 뇌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해야 한다.
뇌는 크게 대뇌피질 , 대뇌변연계, 뇌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뇌피질은 사람 뇌의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로 의식적인 사고, 학습, 언어능력 등의 이성을 콘트롤 하는 기능을 한다. 대뇌피질은 다시 전두엽, 두정엽, 후두엽, 측두엽, 소뇌로 구분된다. 특히 머리 이마 앞부분에 해당하는 전두엽의 전전두엽(前前頭葉)은 감정과 행동, 기억의 통합에서 특별한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는 두뇌의 CEO 역할을 한다. 대뇌피질은 이성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성적 판단 할 때 활성화가 된다. 즉 구매 결정시 충동적으로 상품을 선택했으나 가격을 보고서 잠시 망설이는 것은 대뇌피질의 전두엽이 활성화 되었기 때문이다.
대뇌피질 아래에는 대뇌변연계가 자리잡고 있으며 주로 특정의 정서반응 과 연관되어 있으며 감성을 콘트롤 하는 기능을 한다. 대뇌변연계는 감각정보 중개역할을 하는 시상, 시상의 바로 아래에 본능적 행동을 지배하는 시상하부, 우리몸의 가장 중요한 호르몬을 조절하는 뇌하수체, 기억을 관장하는 해마 및 선호도를 관장하는 편도핵으로 구성되어 있다. 길거리를 지나가다 은은한 커피향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커피가 먹고 싶다는 욕구가 발생하는 것은 대뇌변연계가 활성화 되었기 때문이다.
파충류의 뇌라고 불리는 뇌간은 가장 안쪽에 존재하며 모성애, 굶주림, 갈증, 성욕 과 같이 인간이 태어나는 순간부터 생존에 필수적인 본능을 유지하는 것을 담당한다. 뇌간은 뇌의 내외부의 신호들과 신경전달물질을 통해 두뇌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동시에 대뇌와 변연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하품 같은 단순한 생리현상에서부터 고차원적인 의식 활동 전반에 이르기까지 뇌간은 다른 영역들과 함께 일한다.
[뇌의 구조 와 기능]
구분 | 구조 | 기능 |
대뇌피질(신피질) | 이성을 콘트롤 | |
전두엽 | 사고,학습,추리,의사결정 능력 및 언어능력 담당 | |
두정엽 | 감각정보를 종합하고 분석 | |
후두엽 | 시각을 지배 | |
측두엽 | 기억과 청각을 지배 | |
소뇌 | 몸의 균형과 운동을 관장 | |
대뇌 변연계 | 감성을 콘트롤 | |
시상 | 감각정보를 중개하는 역할 | |
시상하부 | 본능적 행동을 지배(생명중추) | |
뇌하수체 | 호르몬을 조절하여 기능을 조절 | |
해마 | 기억을 관장 | |
편도핵 | 선호도를 관장 | |
뇌간 | 본능을 콘트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