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타임스 채지형기자의 "싸이월드는 왜 떴을까"에 소개한 책 소개입니다.
========================================================
- 소셜 네트워크 관련 책 10권 정도
1. 링크:21세기를 지배하는 네트워크 과학 / A. L. 바라바시 / 동아시아
사회적인 관계형성에서 중요한 것은 개인 관계의 연결망을 분석하는것이다. 이러한 연결망은 거미줄 같은 링크의 네트워크로 연결되었다. 이러한 링크 구조를 사회적 , 과학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책이다.
2. Small World / 던컨와츠 / 세종연구원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바닥이 좁다”는 말을 많이한다. 그 만큼 몇사람만 거치면 그 사람의 관계를 쉽게 규명할 수 있는 “Small World”에 살고 있는것이다.
3. 이머전스:미래와 진화의 열쇠 / 스티븐존슨 / 김영사
소셜네트워크의 특징인 네트워크 , 상향식 , 분산화 , 자기조직화 , 피드백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례들을 통하여 설명해 주고 있다.
4. 넥서스:여섯개의 고리로 읽는 세상 / 마크뷰캐넌 / 세종연구원
대체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이러한 물음에 인터넷 , 과학 , 시스템, 사회과학 등의 다양한 사례들을 통하여 네트워크 패턴을 쉽게 설명하고 있다.
5. 사회연결망 이론 / 김용학 / 박영사
사회현상의 원인을 설명할 때 개개인의 사회학적 배경을 두고 분석한다. 그러나 이 책은 그것이외에 개인의 집단들이 만드는 연결망이 중요한 요인이 될수 있음을 일깨워준다.
6. 온라인커넥션: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공간/ 수잔 B.반즈 / 한나래
사이버공간안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하는 개론서로서 사이버 공간의 대인 관계, 시공간의 개념, 표현 양식, 정체성 등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할 수 있다.
7. 참여군중:휴대폰과인터넷으로 무장한 새로운 군중 /하워드라인골드 / 황금가지“가상공동체”라는 개념을 만들어낸 하워드 라인골드가 새로운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확대되는 프로슈머의 영향 과 그 사회 , 문화적인 현상을 규명한 책이다.
8. 집단지성:사이버공간의 인류학을 위하여 / 피에르레비 / 문학과지성사
불확정한 상태의 사이버공간에서 자유로운 상호교환을 통한 지식과 정보의 자유로운 분배를 제시한 내용으로 “집단지성”이라는 궁극적인 창발조직의 역할을 제시함
9. 티핑포인트:작은아이디어로 빅트렌드를 / 말콤글래드웰 / 21세기북스
사회적으로 일어나는 커다른 변화의 원인은 무엇인가?를 분석한 책으로 티핑포인트의 법칙으로 소수의법칙 , 고착성요소 , 상황의힘등을 제시하고 있다. 2005년 출시되는 “Blink”도 눈여겨 봐야한다.
10. 생각의 지도: 동양과 서양, 세상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선/ 리처드니스벳 / 김영사
소셜네트워크의 네트워크의 관계를 규명하는것도 중요하지만 그 관계가 가진 사회적 문화적 속성을 분석해야한다. 생각의 지도는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 차이를 통한 관계의 속성을 비교분석하였다. 특히 3장의 “전체를보는 동양과 부분을 보는 서양”은 꼭 필독을 권한다.
댓글 영역